Untitled Document
 
 
 [2006년 03월 07일] 슬프므로 슬프지 않다
::: 이 아침의 시
 
슬프므로 슬프지 않다


슬픔을 노래할 때 희망은 메아리친다
희망은 울려퍼진다 스피커는 찢어진다
슬픔에 대해 노래하라
손에 핸드마이크를 하나씩 움켜쥐고
골목 골목 한낮의 단잠을 깨우며
떠들어라 이제 슬프므로 언젠가는 슬프지 않다
국립공원 입구에서 표를 받으며
경포대 해수욕장에서 호각을 불며 탑골공원 벤치의 뒷자리에서
중부도시의 어느 맑은 하늘 아래서
슬픔에 대해 이야기하라
기도하지 마라 노래하라 슬픔에 대해
즐겨라 슬픔, 안아보자 슬픔, 뒹굴자 슬픔
날이 새도록 잇몸 부르트도록 온몸으로
맨몸으로 태워라 슬픔, 태워버려라
어깨동무를 하고 마당을 돌며 재잰잰잰
놋쇠 찢어지도록 놋물 흐르도록
두드려라 슬픔의 꽹과리
그 뒤편에 오는 희망의 메아리까지
박철 (1959~ )
1959년 경기 김포에서 태어나 단국대 국문과를 졸업했다.
1987년『창비 1987』에「김포」외 15편의 시로 등단했으며, 1997년『현대문학』을 통해 소설가로 데뷔하기도 했다. 주요 시집으로『김포행 막차』『밤거리의 갑과 을』『너무 멀리 걸어왔다』『영진설비 돈 갖다주기』『험준한 사랑』등이 있다.
이 시를 읽노라면 문득 황인숙 시인의「강」이라는 시가 떠오른다.

「당신이 얼마나 외로운지, 얼마나 괴로운지,/ 미쳐버리고 싶은지 미쳐지지 않는지/ 나한테 토로하지 말라/……/ 인생의 어깃장에 대해 저미는 애간장에 대해/빠개질 것 같은 머리에 대해 치사함에 대해/웃겼고, 웃기고, 웃길 몰골에 대해/차라리 강에 가서 말하라/당신이 직접/강에 가서 말하란 말이다/강가에서는 우리/눈도 마주치지 말자」

황인숙과 박철은 각각의 시에서 고통과 상처의 치유방식에 대해 논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맺음과 이 지상 위에 기쁠 것 하나 없는, 그리하여 때론 미쳐 버릴 것 같은 현실의 배면에 우리가 지금 몸소 살아가고 있음을 암시한다.
황인숙은 고통과 상처의 현실에 직면했을 때 이를 치유하기 위해 타인에게 그 고통의 흔적을 토로하기보다는 죽음보다 더 무거운 침묵으로 도도히 흐르고 있는 강을 찾아가라고 권한다. 인생은 어차피 혼자 견뎌내야 한다는 것, 홀로 태어났기에 고독과 상처 그리고 죽음의 그 순간도 홀로 견뎌야 한다는 것을 설파한다. 또한 내가 지금 외로울 때 그 누구도 지금 똑같은 고통의 질량으로 고통 받고 있을 것이니, 저 홀로 강의 침묵으로 견뎌내라고 주문한다.
그에 비하면 박철은 좀더 대타적이며, 적극적인 형식으로 슬픔의 해소방법을 권한다. 자신의 슬픔을 핸드마이크를 들고 스피커가 찢어지도록 타인의 단잠을 깨우며 지상 위로 까발릴 때 그것은 어느새 희망이 되고 만다는 생각의 일단을 보여준다. 슬픔이 제 스스로 친구가 되게끔 어깨동무하고, 골방이 아닌 광장에서 껴안아보고, 뒹굴고, 꽹과리 놋쇠를 두드리듯 서로 즐기며 더불어 이야기하고 노래할 때 나에게 다가온 비극적 딜레마는 머잖아 끝장나리라고 그는 설파한다. 동시대에 살고 있는 동년배 두 시인의 상처의 치유방식, 고통과 절망의 해결방식이 어찌 보면 확연히 다른 듯도 보인다.
그러나 저 스스로가 지금 슬프고 미쳐버릴 것 같은 고통의 현실에 처해 있음을 알고, 깨달은 순간 바로 그러한 확신은 결국 자기 의지에 의해 치유될 가능성이 열려 있음을 박철과 황인숙, 두 시인은 우리에게 보여준다. 고통과 상처를 감당하는 방법― 골방 구석에 앉아 넋 놓고 아무것도 안하는 것보다는 강에게 달려가거나 혹은 탑골공원 벤치 뒷자리에서 자신의 처한 슬픔과 상처를 이야기할 때 그 치유의 길은 반드시 열릴 수 있을 거라는 예감을 이 시는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3월 '이 아침의 시' 시 소개는 이승철 시인께서 맡아주셨습니다.
이승철 시인의 촌평과 더불어 시의 향기를 만끽하시기 바랍니다.
이승철
1958년 전남 함평에서 태어나 1983년 시 전문무크『민의』제2집에「평화시장에 와서」외 8편으로 등단했다. 시집 『세월아, 삶아』,『총알택시 안에서의 명상』,『당산철교 위에서』와 산문집(공저)『58개띠들의 이야기』를 출간했다.
현재 한국문학평화포럼 사무국장,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 시 전문지『시경』편집위원, 도서출판 화남 편집주간으로 일하고 있다.
   
(문의 : 고객지원팀 02-323-1081, webmaster@artnstudy.com)
 
디카데미에서 새롭게 구성한 패키지 강좌들이 회원 여러분의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지난 한 달간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패키지 강좌 <박정하의 철학입문 ABC> 가 이 달의 베스트 강좌로 선정되었습니다.

생명윤리, 환경윤리, 정보윤리, 사회윤리 등 현대에도 힘을 발휘하고 있는 윤리 이론들을 살펴보는 <윤리학 입문>
정치적 담론들에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철학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입문 강좌로서 정치철학의 주요 내용들을 쟁점별로 알아보는 <정치철학 입문>
과거는 현실과 미래의 힘! 역사철학의 주요 쟁점 중 7개를 택하여 논쟁적인 방식으로 접근하는 역사철학 입문강의 <역사철학입문>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철학이 가장 신비적이고 근원적인 종교에 접근하여 종교에 대한 여러 가지 쟁점들에 반성적으로 접근하는 <종교철학입문>

유례없는 완벽한 구성을 자랑하는 철학입문 강좌 4개가 회원님께 대만족을 드립니다.
<박정하의 철학입문 ABC>로 회원님의 지성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하세요.

정규강좌
철학강좌
패키지강좌
무료강좌
Now Art
    - 상생과 평화를 염원하는 문학 통일 축제 : ‘상허 이태준 문학제’, ‘임진강 문학 축전’ 스케치 new
- 작가회의 / 제1회 아시아 청년작가 워크숍 : “고통의 기억을 넘어 평화로운 미래로!”
new
-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 민족미학 심포지움 : 민족미학의 오늘, 그 성과와 한계 new
이 사람 e터뷰
    - 이라크 전쟁의 기록-오수연 작가 동영상 인터뷰 new
문화읽기
디지털 갤러리
임영태의 책여행 new
임동확의 시와 풍경 new
아트걸의 추천사이트
김선영의 꽃 이야기
    - 제36회 꽃단장한 사철나무 그리고 바다 new
이 아침의 시 new
오봉옥의 김수영 다시읽기 new
이재무의 시 읽기의 즐거움 new
화제의 책 new
   
Total (295) Page (5/30) 페이지 바로가기
2006/04/04 당산철교 위에서 이승철
2006/03/28 마침표 안현미
2006/03/21 마흔 손세실리아
2006/03/14 백마역 附近 김영현
2006/03/07 슬프므로 슬프지 않다 박철
2006/02/28 산경 도종환
2006/02/21 치자꽃 설화 박규리
2006/02/14 한 호흡 문태준
2006/02/07 배추 절이기 김태정
2006/01/31 겨울 나그네 우대식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